스프링부트 2.4부터는 spring.datasource.username=sa 를 꼭 추가해주어야 한다. 그렇지 않으면 Wrong user name or password 오류가 발생한다.
spring.datasource.username=sa // 공백
참고로 위와 같이 마지막에 공백이 들어가면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. 공백은 모두 제거해야 한다.
JDBC 리파지토리 구현
참고로 이렇게 JDBC API로 직접 코딩하는 것은 20년 전 이야기다. 고대 개발자들이 이렇게 고생하고 살았구나 생각하고 정신 건강을 위해 참고만 하고 넘어가자.
publicclassJdbcMemberRepositoryimplementsMemberRepository {privatefinalDataSource dataSource;//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획득할 때 사용하는 객체//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정보를 바탕으로 DataSource를 생성하고 스프링 빈으로 만들어 DI를 할 수 있다.publicJdbcMemberRepository(DataSource dataSource) {this.dataSource= dataSource; } @OverridepublicMembersave(Member member) {String sql ="insert into member(name) values(?)";Connection conn =null;PreparedStatement pstmt =null;// 결과를 받는 객체ResultSet rs =null;try { conn =getConnection();// 실제 insert를 해야 id를 가질 수 있어서 Statement.RETURN_GENERATED_KEYS 옵션을 넘긴다. pstmt =conn.prepareStatement(sql,Statement.RETURN_GENERATED_KEYS);pstmt.setString(1,member.getName());// 실제 쿼리가 날아가는 부분pstmt.executeUpdate();// 키를 받는 부분 rs =pstmt.getGeneratedKeys();// 값이 있으면 꺼낸다.if (rs.next()) {member.setId(rs.getLong(1)); } else {thrownewSQLException("id 조회 실패"); }return member; } catch (Exception e) {thrownewIllegalStateException(e); } finally {// 리소스 반환// 안 끊으면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이 계속 쌓여서 장애가 날 수 있다.close(conn, pstmt, rs); } } @OverridepublicOptional<Member> findById(Long id) {String sql ="select * from member where id = ?";Connection conn =null;PreparedStatement pstmt =null;ResultSet rs =null;try { conn =getConnection(); pstmt =conn.prepareStatement(sql);pstmt.setLong(1, id); rs =pstmt.executeQuery();if (rs.next()) {Member member =newMember();member.setId(rs.getLong("id"));member.setName(rs.getString("name"));returnOptional.of(member); } else {returnOptional.empty(); } } catch (Exception e) {thrownewIllegalStateException(e); } finally {close(conn, pstmt, rs); } } @OverridepublicList<Member> findAll() {String sql ="select * from member";Connection conn =null;PreparedStatement pstmt =null;ResultSet rs =null;try { conn =getConnection(); pstmt =conn.prepareStatement(sql); rs =pstmt.executeQuery();List<Member> members =newArrayList<>();while (rs.next()) {Member member =newMember();member.setId(rs.getLong("id"));member.setName(rs.getString("name"));members.add(member); }return members; } catch (Exception e) {thrownewIllegalStateException(e); } finally {close(conn, pstmt, rs); } } @OverridepublicOptional<Member> findByName(String name) {String sql ="select * from member where name = ?";Connection conn =null;PreparedStatement pstmt =null;ResultSet rs =null;try { conn =getConnection(); pstmt =conn.prepareStatement(sql);pstmt.setString(1, name); rs =pstmt.executeQuery();if (rs.next()) {Member member =newMember();member.setId(rs.getLong("id"));member.setName(rs.getString("name"));returnOptional.of(member); }returnOptional.empty(); } catch (Exception e) {thrownewIllegalStateException(e); } finally {close(conn, pstmt, rs); } }// 같은 트랜잭션을 유지하려면 DataSourceUtils를 통해 가져와야 한다.privateConnectiongetConnection() {returnDataSourceUtils.getConnection(dataSource); }privatevoidclose(Connection conn,PreparedStatement pstmt,ResultSet rs) {try {if (rs !=null) {rs.close(); } } catch (SQLException e) {e.printStackTrace(); }try {if (pstmt !=null) {pstmt.close(); } } catch (SQLException e) {e.printStackTrace(); }try {if (conn !=null) {close(conn); } } catch (SQLException e) {e.printStackTrace(); } }// 닫을 때에도 DataSourceUtils를 통해서 닫아야 한다.privatevoidclose(Connection conn) throwsSQLException {DataSourceUtils.releaseConnection(conn, dataSource); }}
@ConfigurationpublicclassSpringConfig {// 스프링이 properties에서 설정한 대로 DataSource를 빈으로 만들어준다.privatefinalDataSource dataSource;publicSpringConfig(DataSource dataSource) {this.dataSource= dataSource; } @BeanpublicMemberServicememberService() {returnnewMemberService(memberRepository()); } @Beanpublic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() {//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();// 사용할 빈을 주입한다.returnnewJdbcMemberRepository(dataSource); }}
SpringConfig만 손대면 기존 애플리케이션 관련 코드는 수정하지 않고 변경할 수 있다.
이런 방법을 개방-폐쇄 원칙(OCP)라고 한다. 확장에는 열려있고 수정, 변경에는 닫혀있는 것이다. 스프링의 DI를 사용하면 기존 코드를 전혀 손대지 않고 설정만으로 구현 클래스를 변경할 수 있다.
스프링 통합 테스트
DB를 직접 연결했으므로 스프링을 실행하고 DB를 연결해서 동작시키는 통합 테스트를 해보겠다.
@SpringBootTest@TransactionalclassMemberServiceIntegrationTest {// 이전에는 BeforeEach로 직접 객체를 생성해서 넣었다면// 이제는 스프링 컨테이너한테 받아야 한다.// 테스트는 제일 끝단에 있기 때문에 제일 편한 방법을 써도 돼서// 생성자 인젝션 대신 그냥 필드 기반 @Autowired 한다. @AutowiredMemberService memberService; @Autowired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; @Testpublicvoid회원가입() throwsException {//GivenMember member =newMember();member.setName("hello");//WhenLong saveId =memberService.join(member);//ThenMember findMember =memberRepository.findById(saveId).get();assertEquals(member.getName(),findMember.getName()); } @Testpublicvoid중복_회원_예외() throwsException {//GivenMember member1 =newMember();member1.setName("spring");Member member2 =newMember();member2.setName("spring");//WhenmemberService.join(member1);IllegalStateException e =assertThrows(IllegalStateException.class, () -> memberService.join(member2));//예외가 발생해야 한다. assertThat(e.getMessage()).isEqualTo("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."); }}
classMemberServiceTest {MemberService memberService;Mem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; @BeforeEachvoidsetUp() {// 테스트가 서로 영향이 없도록 항상 새로운 객체를 생성해 의존 관계를 맺어준다. memberRepository =newMemoryMemberRepository(); memberService =newMemberService(memberRepository); } @AfterEachvoidtearDown() {memberRepository.clearStore(); } @Testvoid회원가입() {// givenMember member =newMember();member.setName("hello");// whenLong saveId =memberService.join(member);// thenMember findMember =memberService.findOne(saveId).get();Assertions.assertThat(member.getName()).isEqualTo(findMember.getName()); } @Testvoid중복_회원_예외() {// givenMember member1 =newMember();member1.setName("spring");Member member2 =newMember();member2.setName("spring");// whenmemberService.join(member1);// thenIllegalStateException e =assertThrows(IllegalStateException.class, () ->memberService.join(member2));// 예외의 메시지도 검증 가능Assertions.assertThat(e.getMessage()).isEqualTo("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."); }}
기존의 MemberServiceTest는 JVM 내에서 실행되고 끝나기 때문에 빠르다. MemberServiceIntegrationTest는 로그를 보면 알 수 있듯 스프링을 온전히 띄우고 테스트를 실행하느라 상대적으로 느리다.
@SpringBootTest
스프링 컨테이너와 테스트를 함께 실행한다.
@Transactional
테스트 케이스에 이 애너테이션이 있으면 테스트 시작 전에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테스트 완료 후에 항상 롤백한다. 이렇게 하면 DB에 데이터가 남지 않아 다음 테스트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. 테스트 메서드마다 다 적용된다. 하나 시작하고 끝나면 롤백하고, 하나 시작하고 끝나면 롤백하는 식이다.
단위 테스트는 그럼 왜 필요할까?
가급적이면 순수한 자바 코드로 만든 단위 테스트가 훨씬 좋은 테스트일 확률이 높다. 컨테이너 없이 테스트할 수 있도록 훈련해야 한다. 컨테이너까지 올릴 정도면 테스트 설계가 잘못됐을 수 있다.
JDBC Template
순수 JDBC와 환경 설정이 동일하다.
스프링 JdbcTemplate과 MyBatis 같은 라이브러리는 JPBC API에서 봤던 반복 코드를 대부분 제거해준다. 하지만 SQL은 직접 작성해야 한다.
publicclassJdbcTemplateMemberRepositoryimplementsMemberRepository {privatefinalJdbcTemplate jdbcTemplate;// 생성자가 딱 하나만 있으면 @Autowired 애너테이션을 생략할 수 있다.publicJdbcTemplateMemberRepository(DataSource dataSource) { jdbcTemplate =newJdbcTemplate(dataSource); } @OverridepublicMembersave(Member member) {SimpleJdbcInsert jdbcInsert =newSimpleJdbcInsert(jdbcTemplate);// 직접 쿼리를 쓸 필요 없이 인서트 문을 만들어준다.jdbcInsert.withTableName("member").usingGeneratedKeyColumns("id");Map<String,Object> parameters =newHashMap<>();parameters.put("name",member.getName());// 키를 받아서 id로 세팅한다.Number key =jdbcInsert.executeAndReturnKey(newMapSqlParameterSource(parameters));member.setId(key.longValue());return member; } @OverridepublicOptional<Member> findById(Long id) {List<Member> result =jdbcTemplate.query("select * from member where id = ? ",memberRowMapper(), id);returnresult.stream().findAny(); } @OverridepublicList<Member> findAll() {returnjdbcTemplate.query("select * from member",memberRowMapper()); } @OverridepublicOptional<Member> findByName(String name) {List<Member> result =jdbcTemplate.query("select * from member where name = ? ",memberRowMapper(), name);returnresult.stream().findAny(); }privateRowMapper<Member> memberRowMapper() {return (rs, rowNum) -> {Member member =newMember();member.setId(rs.getLong("id"));member.setName(rs.getString("name"));return member; }; }}